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- 다형성
- Full text
- 추상클래스
- 자바 야구게임
- Validations
- Random
- 이클립스
- 전자정부
- 가변인자
- 25가지 효율적인 sql작성법
- jquery
- 페이징
- 단축키
- angular2
- 전체
- 상속예제
- full text indexing
- 상속
- 다운캐스팅
- 자바
- IBatis procedure
- 전체텍스트
- 스프링
- 형변환
- Login with OAuth Authentication
- 업캐스팅
- while
- 로또
- 야구게임
- Today
- Total
nalaolla
스프링(Spring) 개발 - (5) 스프링 기본 프로젝트 분석 본문
스프링(Spring) 개발 - (5) 스프링 기본 프로젝트 분석
이번 글에서는 지난시간에 만들었던 스프링 프로젝트에 대해서 간단히 분석을 해보겠습니다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1. 폴더구조 파악
우리가 만들었던 first 프로젝트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다.
이 구조를 간단히 살펴보자.
1) src/main/java는 java 파일이 모여있는 디렉토리이다. 우리가 앞으로 만들 java 파일은 전부 이 디렉토리에 구성된다.
2) src/main/resources는 여기서는 사용하지 않지만, 추후 스프링 설정 파일이나 쿼리가 저장될 디렉토리이다.
3) src/test/ 관련 폴더는 test 관련 폴더인데, 우리는 TDD(Test Driven Development) 방법론이나 테스트코드를 따로 작성하는 방식은 아직까지는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, 현재로써는 필요없는 폴더이다. 과감히 삭제.
4) 우리는 메이븐을 사용하는데, 메이븐의 기본 폴더는 src/main/webapp 폴더가 기본 폴더이다. webapp 폴더 밑에 모든 jsp 및 js 등의 파일이 포함된다.
5) servlet-context.xml, root-context.xml은 서블릿(Servlet)관련 설정파일이다.
2. HomeController.java
Controller는 웹 클라이언트에서 들어온 요청을 해당 비지니스 로직으로 분기시켜주고, 수행결과의 응답을 해주는 Dispatcher의 역할을 담당하는 클래스이다. 스프링의 MVC 구조는 다음 글에서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하고, 여기서는 간단히 소스를 살펴보기만 한다.
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| @RequestMapping (value = "/" , method = RequestMethod.GET) public String home(Locale locale, Model model) { logger.info( "Welcome home! The client locale is {}." , locale); Date date = new Date(); DateFormat dateFormat = DateFormat.getDateTimeInstance(DateFormat.LONG, DateFormat.LONG, locale); String formattedDate = dateFormat.format(date); model.addAttribute( "serverTime" , formattedDate ); return "home" ; } |
먼저 @RequestMapping 이라는 부분이 웹 클라이언트 (jsp)에서 들어온 요청에 해당하는 비지니스 로직을 찾아주는 역할을 한다. 뒤에 method는 이 요청이 POST 인지, GET 방식인지를 말해주는데, 우리는 앞으로 거의 대부분을 POST로 보낼것이기 때문에, 이 부분은 지울 계획이다.
그 다음은 return "home"; 이라는 부분이다. 이 부분은 수행결과의 응답을 어디로 보낼지를 명시해준다. 나중에 서블릿(Servlet) 설정에서 다시 설명하겠지만, "home"이라는 것은 jsp 파일명을 의미한다.
서블릿 설정에서 자동으로 앞에 "/WEB-INF/views"를 붙여주고 (prefix),
뒤에 ".jsp"를 붙여주도록 되어있다.(suffix)
따라서 우리가 위에서 본 src/main/webapp/WEB-INF/views/home.jsp가 호출되게 되는 것이다.
세번째로, model.addAttribute("serverTime", formattedDate); 부분이다.
이는 비지니스 로직에서 수행한 결과를 화면으로 보내주기 위한 부분이다. serverTime이라는 이름으로 formattedDate를 전송함을 의미한다. 이를 사용하는 방법은 home.jsp에서 이야기 한다.
3. home.jsp
home.jsp는 다음과 같이 작성되어있다.
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| <%@ page session= "false" %> <title>Home</title> <h1> Hello world! </h1> <p> The time on the server is ${serverTime}. </p> <br> |
첫번째로 볼 부분은 The time on the server is ${serverTime}. 이라는 부분이다.
우리는 Controller에서 model.addAttribute("serverTime", formattedDate); 라는 방식으로 화면으로 결과값을 보내주었다고 했었다. 여기서 serverTime이라는 이름으로 보낸 부분이 ${serverTime}이라는 방식으로 사용됨을 볼 수 있다.
${} 는 EL(Expression Language)를 사용한 부분이다. EL에 대한 설명은 인터넷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관계로, 바로 넘어가도록 한다.
${serverTime}이라는 부분이 서버에서 넘어온 결과를 화면에 보여준다.
3. web.xml
web.xml을 위에서 서블릿 배포 기술자라고 했다. 영어로는 DD (Deploment Descriptor)라고 한다. web.xml은 WAS (Web Application Server)(여기서는 Tomcat)이 최초 구동될 때, WEB-INF 디렉토리에 존재하는 web.xml을 읽고, 그에 해당하는 웹 애플리케이션 설정을 구성한다. 다시 말해, 각종 설정을 위한 설정파일이라고 이야기 할 수 있다.
web.xml은 나중에 수정을 할 부분이 있는데, 그때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.
4. servlet-context.xml
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| <!--?xml version= "1.0" encoding= "UTF-8" ?--> <beans:beans xmlns= "http://www.springframework.org/schema/mvc" xmlns:xsi= "http://www.w3.org/2001/XMLSchema-instance" xmlns:beans= "http://www.springframework.org/schema/beans" xmlns:context= "http://www.springframework.org/schema/context" xsi:schemalocation= "http://www.springframework.org/schema/mvc http://www.springframework.org/schema/mvc/spring-mvc.xsd http://www.springframework.org/schema/beans http://www.springframework.org/schema/beans/spring-beans.xsd http://www.springframework.org/schema/context http://www.springframework.org/schema/context/spring-context.xsd" > <!-- DispatcherServlet Context: defines this servlet's request-processing infrastructure --> <!-- Enables the Spring MVC @Controller programming model --> <annotation-driven> <!-- Handles HTTP GET requests for /resources/** by efficiently serving up static resources in the ${webappRoot}/resources directory --> <resources mapping= "/resources/**" location= "/resources/" > <!-- Resolves views selected for rendering by @Controllers to .jsp resources in the /WEB-INF/views directory --> <beans:bean class= "org.springframework.web.servlet.view.InternalResourceViewResolver" > <beans:property name= "prefix" value= "/WEB-INF/views/" > <beans:property name= "suffix" value= ".jsp" > </beans:property></beans:property></beans:bean> <context:component-scan base-package= "com.company.first" > </context:component-scan></resources></annotation-driven></beans:beans> |
servlet-context는 서블릿 관련 설정이다. 우리가 여기서 주목해야하는 부분은
<beans:bean class="org.springframework.web.servlet.view.InternalResourceViewResolver">
<beans:property name="prefix" value="/WEB-INF/views/" />
<beans:property name="suffix" value=".jsp" />
</beans:bean>
↑ 이 부분이다.
Controller을 설명할 때, 서블릿 설정이 자동으로 prefix와 suffix를 붙인다고 해줬는데, 그 역할을 담당한다. 즉, 우리가 일일이 전체경로와 .jsp를 붙이지 않아도 되도록 도와준다.
그 다음은 <context:component-scan base-package="com.company.first" /> 이다.
이 부분은 스프링에서 사용하는 bean을 일일이 xml에 선언하지 않고도 필요한 것을 어노테이션(Annotation)을 자동으로 인식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. 이는 나중에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이번 글에서는 지난 시간에 만들었던 first 프로젝트를 간단히 살펴봤습니다.
물론 이 모든게 한번에 이해하기 힘들겁니다. 이번에는 그냥 간단히 보고 넘어가는 식으로, 그냥 이런게 있구나~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. 다음 글에서부터는 본격적으로 스프링을 사용한 프로젝트를 구성할 예정입니다. 상당히 많은 양이 예정되어 있는데, 여기서 나왔던 부분들이 하나씩 하나씩 좀 더 자세하게 설명됩니다.
'SP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스프링(Spring) 개발 - (7) Spring MVC 구조 및 설정파일 (0) | 2016.06.25 |
---|---|
스프링(Spring) 개발 - (6) 프로젝트 생성 및 개발 시작 (0) | 2016.06.25 |
스프링(Spring) 개발 - (4) 스프링 프로젝트 생성하기 (0) | 2016.06.25 |
스프링(Spring) 개발 - (3) 개발환경 구성하기 - 이클립스 플러그인 설치(3/3) (0) | 2016.06.25 |
스프링(Spring) 개발 - (2) 개발환경 구성하기 [Eclipse+Maven+SVN] (2/3) (0) | 2016.06.2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