관리 메뉴

nalaolla

Spring Boot Oauth2 – AuthorizationServer 본문

SPRING/Spring Boot Oauth2

Spring Boot Oauth2 – AuthorizationServer

날아올라↗↗ 2020. 2. 18. 14:01
728x90
반응형

Spring 프레임웍에서 제공하는 Oauth2 프로젝트를 이용하여 Oauth Authorization Server를 구축해 보겠습니다. Oauth Authorization은 클라이언트가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회원 리소스를 제공받기 위해 인증 및 권한 부여를 받는 일련의 절차라고 보면 됩니다.

이를테면 페이스북이나, 구글, 카카오톡 등이 대표적인 서비스 제공자인데요. 해당 서비스에 로그인하고 제휴한 앱에 회원정보 접근을 승인하는 과정을 제공하는 것이 Authorization 서버입니다.

즉 이번에 실습하는 것은 클라이언트가 아니라, 페이스북 같은 서비스 제공자를 만들어보는 실습이라고 보면 됩니다.

authorization 서버의 인증 타입은 총 4가지가 있으며, authorization_code 타입이 가장 대중적으로 이용됩니다. 아래는 authorization_code 타입 인증의 대략적인 Flow입니다. 아래 내용 중 로그인은 Authenticaion이라 하고 로그인 후 회원의 리소스를 접근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받는 것을 Authorization+AccessControl 이라고 합니다.

최신 소스는 아래 GitHub 주소를 참고하시면 됩니다. https://github.com/codej99/SpringOauth2AuthorizationServer.git

Spring gradle 프로젝트 생성

프로젝트 초기 세팅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면 됩니다.
>> Intellij Community 프로젝트생성

gradle.build 내용 수정

plugins {

    id 'org.springframework.boot' version '2.1.4.RELEASE'

    id 'java'

}

 

apply plugin: 'io.spring.dependency-management'

 

group = 'com.rest'

version = '0.0.1-SNAPSHOT'

sourceCompatibility = '1.8'

 

configurations {

    compileOnly {

        extendsFrom annotationProcessor

    }

}

 

repositories {

    mavenCentral()

}

 

dependencies {

    implementation 'org.springframework.boot:spring-boot-starter-data-jpa'

    implementation 'org.springframework.boot:spring-boot-starter-web'

    implementation 'org.springframework.cloud:spring-cloud-starter-security:2.1.2.RELEASE'

    implementation 'org.springframework.cloud:spring-cloud-starter-oauth2:2.1.2.RELEASE'

    implementation 'com.google.code.gson:gson'

    compileOnly 'org.projectlombok:lombok'

    runtimeOnly 'com.h2database:h2'

    annotationProcessor 'org.projectlombok:lombok'

    testImplementation 'org.springframework.boot:spring-boot-starter-test'

}

Authorization Server Config 생성

Oauth2AuthorizationConfig를 생성하고 아래 어노테이션을 붙여서 인증 서버를 활성화 합니다.

@Configuration
@EnableAuthorizationServer

클라이언트 정보는 테스트를 위해 일단 더미 데이터를 세팅하겠습니다.

redirectUri
인증 완료 후 이동할 클라이언트 웹 페이지 주소로 code 값을 실어서 보내줍니다.

authorizedGrantTypes
인증 방식은 총 4가지가 있습니다. 그중 authorization_code 방식이 주로 사용됩니다.

Authorization Code 가장 대중적인 방식.
Service Provider가 제공하는 인증 화면에 로그인하고
클라이언트 앱이 요청하는 리소스 접근 요청을 승인하면,
지정한 redirect_uri로 code를 넘겨주는데. 해당 code로
access_token을 얻는다.
Implicit Authorization Code와 flow가 비슷하다.
인증 후 redirect_uri로 직접 access_token을 전달받으므로.
전체 프로세스는 좀 더 간단해지지만 Authorization Code
방식에 비해 보안성은 떨어진다.
password credential Resource Owner가 직접 Client에 아이디와 패스워드를 입력하고
Authorization 서버에 해당 정보로 인증받아 access_token을 직접
얻어오는 방식.
access token을 얻어올 때 Client에 아이디 패스워드가 노출되어
보안이 떨어지므로 일반적으로 공식 애플리케이션에서만 사용한다.

client credential
access_token을 얻는데 정해진 인증 key(secret)로 요청하며,
일반적인 사용보다는 server 간 통신을 할 때 사용한다.

scopes
인증 후 얻은 accessToken으로 접근할 수 있는 리소스의 범위입니다. 테스트로 read, write scope가 있다고 세팅 합니다. resource서버(api서버)에서는 해당 scope정보로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할 리소스를 제한하거나 노출시킵니다.

accessTokenValiditySeconds
발급된 accessToken의 유효시간(초) 입니다.

@Configuration

@EnableAuthorizationServer

public class Oauth2AuthorizationConfig extends AuthorizationServerConfigurerAdapter {

 

    public void configure(ClientDetailsServiceConfigurer clients) throws Exception {

        clients.inMemory()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.withClient("testClientId")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.secret("testSecret")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.redirectUris("http://localhost:8081/oauth2/callback")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.authorizedGrantTypes("authorization_code")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.scopes("read", "write")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.accessTokenValiditySeconds(30000);

    }

}

SpringSecurity Config 생성

config 패키지 하위에 SpringSecurityConfig를 작성합니다.

password세팅 시에는 암호화에 대한 준비가 아직 되어있지 않으므로 NoOpPasswordEncoder를 사용하도록 세팅합니다. 인증할 회원 정보도 테스트를 위해 일단 더미로 세팅합니다. csrf는 사용 안 함 처리합니다.
.headers().frameOptions().disable()은 security 적용 시 h2 console 사용이 막히므로 세팅합니다. oauth로 시작하는 리소스는 authorization 서버 세팅시 자동으로 생성되는 주소를 누구나 접근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세팅입니다. callback테스트를 위한 url과 h2 console용 주소도 모두 접근 가능하도록 세팅합니다. security 로그인 화면은 일단 기본 폼을 사용하도록 세팅합니다.

@Configuration

@EnableWebSecurity

public class SecurityConfig extends WebSecurityConfigurerAdapter {

    @Bean

    public PasswordEncoder noOpPasswordEncoder() {

      return NoOpPasswordEncoder.getInstance();

    }

 

    @Override

    protected void configure(AuthenticationManagerBuilder auth) throws Exception {

        auth.inMemoryAuthentication()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.withUser("user")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.password("pass")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.roles("USER");

    }

 

    @Override

    protected void configure(HttpSecurity security) throws Exception {

        security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.csrf().disable()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.headers().frameOptions().disable()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.and()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.authorizeRequests().antMatchers("/oauth/**", "/oauth2/callback", "/h2-console/*").permitAll()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.and()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.formLogin().and()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.httpBasic();

    }

}

공통 환경 세팅을 위한 WebMvcConfig 생성

config 패키지 하위에 WebMvcConfig를 생성하고 프로젝트에서 사용하는 공통 빈이나 필요한 환경 정보를 세팅합니다. 아래에서는 인증서버에 크로스 도메인 접근 가능하도록 cors 설정을 추가하였습니다. 그 외 Restemplate이나 PasswordEncoder 등 프로젝트 전반적으로 사용되는 모듈에 대한 Bean 설정을 추가합니다.

package com.rest.oauth2.config;

 

// import 생략

 

@Configuration

public class WebMvcConfig implements WebMvcConfigurer {

 

    private static final long MAX_AGE_SECONDS = 3600;

 

    @Override

    public void addCorsMappings(CorsRegistry registry) {

        registry.addMapping("/**")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.allowedOrigins("*")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.allowedMethods("GET", "POST", "PUT", "DELETE")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.allowedHeaders("*")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.allowCredentials(true)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.maxAge(MAX_AGE_SECONDS);

    }

 

    @Bean

    public RestTemplate getRestTemplate() {

        return new RestTemplate();

    }

 

    @Bean

    public PasswordEncoder passwordEncoder() {

        return PasswordEncoderFactories.createDelegatingPasswordEncoder();

    }

}

application.yml 작성

향후 개발할 리소스 서버(api서버)와 구분을 두기 위해 8081로 세팅합니다.
나머지는 h2와 jpa설정입니다. 테스트 환경이나 기호에 맞게 변경해 사용하면 됩니다.

server:

  port: 8081

spring:

  h2:

    console:

      enabled: true

      settings:

        web-allow-others: true

  datasource:

    url: jdbc:h2:tcp://localhost/~/test

    driver-class-name: org.h2.Driver

    username: sa

  jpa:

    database-platform: org.hibernate.dialect.H2Dialect

    properties.hibernate.hbm2ddl.auto: update

    showSql: true

1차 테스트

위에서 세팅한 테스트 클라이언트, 테스트 회원으로 다음과 같이 인증 url을 브라우저에서 호출합니다. authorization_code 인증 방식은 로그인이 완료되었을 때 인증 코드를 주는 방식 이므로 로그인이 되어있지 않은 경우 로그인 화면으로 리다이렉트 됩니다.(SpringSecurity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화면이며 커스텀하게 UI 변경 가능합니다.)

http://localhost:8081/oauth/authorize?client_id=testClientId&redirect_uri=http://localhost:8081/oauth2/callback&response_type=code&scope=read

로그인에 성공하면 클라이언트의 리소스 허용 확인을 묻는 화면으로 이동합니다.

리소스 사용을 허용하면 테스트로 세팅한 redirectUri로 화면이 리다이렉트 됩니다. 현재는 받아줄 controller를 세팅하지 않았으므로 404 화면이 뜨게 됩니다. 여기서 봐야 될 중요한 점은 주소 마지막에 추가로 넘어온 code값입니다. code=KltwEm
authrization_code를 통한 승인 방식은 완료 후에 리다이렉트 주소로 code를 실어 보내주는데 해당 code값으로 api를 호출하여 accessToken을 얻을 수 있습니다.

토큰 정보를 받을 수 있도록 개선

build.gradle에 gson 라이브러리 추가

Json정보를 Model로 맵핑하기 위해 사용할 라이브러리로 Gson을 추가합니다.

implementation 'com.google.code.gson:gson'

토큰정보를 받을 모델 생성

package com.rest.oauth2.model.oauth2;

 

import lombok.Getter;

import lombok.Setter;

 

@Getter

@Setter

public class OAuthToken {

    private String access_token;

    private String token_type;

    private String refresh_token;

    private long expires_in;

    private String scope;

}

토큰 생성을 확인하기 위한 redirect 주소 처리용 Controller 생성

controller.common package 아래에 Oauth2Controller 생성합니다. 이 Controller는 Oauth인증 완료 후 redirectUri를 처리해주기 위한 Controller로 원래는 해당 프로젝트가 아닌 클라이언트에 세팅되는 화면이 되어야 합니다. 하지만 인증서버 테스트 결과를 보기 위해서 임시로 만든 것입니다. curl 방식으로 다음과 같이 호출하여 결과를 볼 수도 있습니다.
기본적으로 토큰 요청 시 Header에 Authorization:Basic으로 clientId와 secret값을 인코딩해서 넣어야 하므로 생각보다 복잡합니다.

curl -X POST \

'http://localhost:8081/oauth/token' \

-H 'Authorization:Basic dGVzdENsaWVudElkOnRlc3RTZWNyZXQ=' \

-d 'grant_type=authorization_code' \

-d 'code=u6q9Ju' \

-d 'redirect_uri=http://localhost:8081/oauth2/callback'

@RequiredArgsConstructor

@RestController

@RequestMapping("/oauth2")

public class Oauth2Controller {

 

    private final Gson gson;

    private final RestTemplate restTemplate;

 

    @GetMapping(value = "/callback")

    public OAuthToken callbackSocial(@RequestParam String code) {

 

        String credentials = "testClientId:testSecret";

        String encodedCredentials = new String(Base64.encodeBase64(credentials.getBytes()));

 

        HttpHeaders headers = new HttpHeaders();

        headers.setContentType(MediaType.APPLICATION_FORM_URLENCODED);

        headers.add("Authorization", "Basic " + encodedCredentials);

 

        MultiValueMap<String, String> params = new LinkedMultiValueMap<>();

        params.add("code", code);

        params.add("grant_type", "authorization_code");

        params.add("redirect_uri", "http://localhost:8081/oauth2/callback");

        HttpEntity<MultiValueMap<String, String>> request = new HttpEntity<>(params, headers);

        ResponseEntity<String> response = restTemplate.postForEntity("http://localhost:8081/oauth/token", request, String.class);

        if (response.getStatusCode() == HttpStatus.OK) {

            return gson.fromJson(response.getBody(), OAuthToken.class);

        }

        return null;

    }

}

2차 테스트

1차와 동일한 url을 호출하여 인증 완료되면 이제는 404 화면이 뜨지 않고 다음과 같은 출력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.

{

"access_token":"5bf1b64e-d0fa-4f47-b747-aee27cf1dc0a",

"token_type":"bearer",

"refresh_token":null,

"expires_in":29974,

"scope":"read"

}

여기까지 인증서버를 구축하고 최종 AccessToken을 얻는 것까지 실습을 완료하였습니다. AccessToken을 헤더에 실어 리소스 서버에 요청을 보내면 해당 리소스의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.

 

 

[출처] https://daddyprogrammer.org/post/1239/spring-oauth-authorizationserver/

728x90
반응형